교육
교과과정
교과과정
구분 |
학수번호 |
교과목명 |
비고 |
공통과목(필수)
*3과목 모두 이수 |
NUCE501 |
원자력공학 |
이수구분은 전공필수임 |
NUCE502 |
원자로물리학 |
NUCE503 |
원자력과 사회문제 |
공통과목(선택)
*3학점이상 이수 |
NUCE520 |
방사선계측 |
이수구분은 전공선택임 |
NUCE702 |
원자로실험 |
NUCE719C |
미래사회첨단원자력입문 |
전공필수 (택1과목) |
NUCE523 |
원자력 열수력학 |
원자력안전 분야 |
NUCE523 |
플라즈마 및 빔물리 |
플라즈마 및 가속기 분야 |
NUCE530 |
방사성폐기물관리 |
원자력환경 분야 |
NUCE719E |
인공지능-로봇 공학 입문 |
인공지능 및 로봇시스템 분야 |
전공선택 |
NUCE510 |
원자력발전공학 |
원자력안전 분야 |
NUCE511 |
열전달물리학 |
NUCE611 |
이상유동 |
NUCE718U |
원자력안전과규제 |
NUCE719B |
안전공학과 원자력안전법 |
NUCE526 |
방사광 과학과 응용 |
플라즈마 및 가속기 분야 |
NUCE718I |
플라즈마 공학을 위한 수치해석 |
NUCE718M |
가속기의 원리와 기술 |
NUCE721 |
방사선차폐와 몬테카를로분석 |
(미개설) |
핵융합 플라즈마 |
NUCE533 |
환경방사성오염물질 |
원자력환경 분야 |
NUCE534 |
비정질세라믹스 |
NUCE731 |
고급방사성폐기물관리 |
(미개설) |
화학적폐기물관리 및 처분 |
NUCE718T |
인공지능-원자력 기초실습 |
인공지능 및 로봇시스템 분야 |
NUCE718X |
원자력안전-인공지능 융합심화 |
(미개설) |
극한환경용 인공지능 로봇/센싱 시스템 개발 |
사회융합 *3학점이상 이수 |
NUCE719D |
원자력과 사회문제 캡스톤 디자인 |
이수구분은 전공선택임 |
NUCE719F |
통계적 연구방법론 |
NUCE718W |
극한환경로봇과 사회문제해결 |
MECH437 |
기계인공지능 |
(미개설) |
과학기술정책/인공지능과 윤리 |
연구과목 |
NUCE800 세미나 |
석사2, 박사3, 통합5학점 이수 |
석사2, 박사3, 통합5학점 이수 |
NUCE699(01~09) |
석사논문연구
|
|
NUCE899(01~09) |
박사논문연구 |
|
2011학번 ~ 2013학번
- 원자력분야의 기초인 핵공학개론(NUCE501)과 원자로물리학(NUCE601)은 전공필수과목으로 모두 수강
2014학번 ~ 2016학번
- 원자력분야의 기초인 핵공학개론(NUCE501), 원자로물리학(NUCE601), 방사성폐기물관리개론(NUCE602)은 전공필수과목으로 3과목 모두 수강
- 박사과정 연계 진학자의 경우, 석사 때 전공필수과목을 모두 이수하였으면 중복 수강 없이 면제
2017 ~ 2020학번
- 전공선택필수 3과목 중 2과목을 선택하여 필수로 수강
- 공통과목 중 원자력공학(NUCE501)과 원자로물리학(NUCE502)은 필수로 수강
- 학부 원자력학과 졸업생은 학기초 원자력공학(NUCE501)과 원자로물리학(NUCE502) 시험을 시행하여 합격시에 NUCE501과 NUCE502의 수강 면제
- 박사과정 연계 진학자의 경우, 석사 때 전공선택필수과목을 모두 이수하였으면 중복 수강 없이 면제
2021학번부터 적용
- 공통과목 필수인 원자력공학, 원자로물리학, 원자력과사회문제 3과목을 필수로 수강
- 전공필수 4과목(원자력열수력학, 플라즈마 및 빔물리, 방사성폐기물관리, 인공지능-로봇 공학 입문) 중 1과목을 선택하여 필수로 수강
- 박사과정 연계 진학자(석사→박사)는 공통과목(필수, 선택), 전공필수, 사회융합 과목을 이수하였으면 중복 수강 없이 면제
2011학번 ~ 2020학번
- 석사, 박사과정 동안 NUCE 학수번호를 가진 전공 선택과목을 2과목이상 이수
2021학번부터 적용
- 공통과목 선택 중 3학점 이상 이수
- 사회융합 과목 중 3학점 이상 이수
- 원자력 연구 분야의 새로운 동향을 폭넓게 습득하기 위하여 세미나를 석사과정 중 2학점 이상, 박사과정 중 3학점 이상, 석·박사통합 과정 중 5학점 이상 이수
- 2022학년도부터 신설된 대학 공통 영어과목(GEDU501 영어논문작성법, GEDU502 프레젠테이션 스킬)은 졸업학점으로 불인정
2011학번 ~ 2013학번
구 분 |
교과학점 |
연구학점 |
총 이수학점 |
석사과정 |
15 |
13 |
28 |
박사과정 |
12 |
20 |
32 |
석·박사 통합과정 |
24 |
36 |
60 |
2014학번부터 적용
구 분 |
교과학점 |
연구학점 |
총 이수학점 |
석사과정 |
18 |
10 |
28 |
박사과정 |
15 |
17 |
32 |
석·박사 통합과정 |
30 |
30 |
60 |
2021학번부터 적용
구 분 |
교과학점 |
연구학점 |
총 이수학점 |
석사과정 |
18 |
10 |
28 |
박사과정 |
21 |
11 |
32 |
석·박사 통합과정 |
36 |
24 |
60 |
※ 학부 및 타 학과 대학원 과목 취득학점 인정
- 학부 과목: 400단위 과목 6학점까지 인정
- 타 학과 대학원 과목: 석사과정은 6학점, 박사, 석·박사통합과정은 12학점까지 인정
- 공통사항: 성적취득구분은 본인의 희망에 따라 Grade 또는 S/U로 신청 가능